전체 썸네일형 리스트형 AI 그림에 대하여 사실 이런 글을 쓰게될줄은 몰랐는데, 어쩌다보니 그렇게 됐다. 이야기에 앞서서, 나는 AI기술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그리고 생성된 이미지에 대한 저작권은 비관적으로 바라본다. 말도 많고 탈도 많은 AI기술... 게임 개발자이기 이전에 컴퓨터공학도로서 놀라웠다. 강력한건 알고 있었지만, 여기까지 왔구나 싶었다. 그리고 동시에 환장할만한 상황이 벌어진다. 학습에 사용된 "그림"에 대한 문제다. 머신러닝은 기본적으로 데이터로 이루어진다. 좋은 데이터는 좋은 결과를 만든다는 말이 있을정도로, 머신러닝에서 데이터는 대단히 중요하다. 즉, 그림을 그리는 AI를 위해서는 수많은 그림이 필요하다. 그렇다면 그 그림은 어디서 가져왔는가? 인터넷에 올라온 그림들이다. 잠깐 뭐라고? 내가 그린 그림이 도용당했다고? 한바탕 .. 더보기 135. 자연수 더보기 [Lua] C API 레퍼런스 읽기 https://www.lua.org/manual/5.3/manual.html 기본 원리는 지난글에서 설명했다. 그럼 이번엔 실제 API를 좀 읽어보도록 하자 레퍼런스 오른쪽엔 다음과같은표시가 있다. 각 필드는 팝, 푸쉬, 에러 여부다 lua_pop은 위와 같은 표시가 붙어있는데, n개를 스택에서 팝하는 함수라서 그렇다. 반대로 +0이라 푸쉬는 아예없다. lua_tonumber을 보자. 이번엔 푸쉬도 팝도 없다. 즉, 단순 tonumber같은거로 값을 가져온다고 값이 사라지진 않는것이다 지난글에선 그림에서 잘못표시했었다 걍 tonumber하면 여전히 스택에 함수 반환값등으로 생긴 값이 남아있으니까, 팝을 적절히 잘 해주도록하자. 말그대로 top을 가져온다. 정확히는 top의 인덱스를 가져오기 때문에, 사실.. 더보기 [Lua] Lua랑 C/C++ 사이 통신하는 방법 신조차 모독하는 사상 최대의 인터프리터 luajit 루아51이든 루아지트든 똑같다고는하는데 C++에 임베딩한 후에 뭘 해야할지 잘 모르겠었다 근데 어쩌다보니 땔질좀 하니 뭔가 되긴 하더라 그 내용을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진짜 기본 시작 세팅은 건너뛰었는데, 이부분은 나중에 글 쓸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습니다 기본 작동원리 꽤 중요한 대목이다 전공자라면 수업시간에 함수의 인수는 스택에 쌓인다는걸 배웠을 것이다 루아도 비슷한 느낌으로 스택을 사용한다 C++ 코드로, 루아에 변수를 할당하고싶다고 쳐보자. 그럼 lua_push로 시작하는 함수들을 이용해서 C++에서 계산한 값을 스택에 넣어주고, lua_setglobal같은 함수를 이용해서 스택에서 빼서 lua에 할당해준다. 예를들어보자 lua_pushnumber(.. 더보기 134. NFT 더보기 유니티 인스펙터 에디터를 내 맘대로 갖고놀아보자 일단 유니티 에디터는 MonoBehaviour을 기본으로 작동한다 근데, 이 모노비해비어를 집어넣으면 그 아래쪽에 이렇게 된다 위 처럼 간단한 것들은 [Range(a,b)]같은 애트리뷰트를 집어넣는것 만으로 해결이 되지만 버튼 하나 집어넣는것만 해도 애트리뷰트로는 해결이 안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우리는 에디터 스크립트를 써야한다 Editor 요놈이 뭐하는 놈인가 싶을텐데, 역할을 요약하면 "Editor에서 모노비헤비어 인스펙터를 어떻게 보여줄지 처리 해줌"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이 코드를 특수 폴더 Script를 만들어 집어넣게 되면, [CustomEditor(typeof(Platform))] 애트리뷰트로 인해 Platform이라는 타입의 인스펙터를 PlatformEditor의 Editor가 된다 쉽게말해.. 더보기 133. Mutual Exclusion 스핀락은 비킬때까지 틈틈히 들어와서 물어보는겁니다 더보기 132. Convoy Effect 더보기 게임 개발시 최적화 관련 토막글 보통 게임을 만들때, 특히 출시까지 고려하게 되면 최적화는 피할 수 없는 문제가 된다. 그런데 내가 처음 게임을 만들때는 이런 기준이 전혀 잡히지 않아서 난감하고 막막했었다. 하지만 물론 게임마다 다르겠지만, 대략적으로 기준을 잡는 방법이 있다 아마 듣고 나면 당연해서 왜 생각 못했지 싶을 것 같다. 아무튼 상당히 명료한 기준이다. 바로 fps를 기준으로 잡으면 된다. 뭔소리고 하니, 일반적인 게임은 60fps 혹은 120fps정도로 맞춘다. 물론 그 이상의 프레임을 원하는 유저들도 있지만, 보통은 저정도 프레임률이 나오면 보통은 만족한다. 안드로이드는 60fps, pc는 120fps를 기준으로 잡으면 된다. fps는 초당 프레임률이기 때문에, fps를 역수 취해주면 프레임당 초가 나온다. 1/120= .. 더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1. 게임 내부에서 기기로부터 별도의 데이터 수집하지 않습니다. 2. 스피커의 오디오 접근 권한을 요구합니다. 이것은 기기의 스피커에 액세스하기 위함입니다. 3. 경우에 따라 기능이 추가되면서 개인정보처리방침이 일부 수정될 수 있습니다. 더보기 이전 1 2 3 4 ··· 20 다음